리사 펠드먼 배럿(Lisa Feldman Barrett)의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How Emotions Are Made)』는
우리가 ‘본능’이라 믿어온 감정이 사실은 뇌가 예측하고 구성해낸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설명하는,
현대 감정과학의 패러다임을 뒤집는 획기적인 과학 교양서입니다.
“감정은 느끼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저자는 이 한 문장을 바탕으로 감정의 정체, 기원, 통제 가능성에 대해
철저히 과학적인 근거와 실험으로 논리적이고도 신선하게 풀어냅니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리사 펠드먼 배럿
장르: 뇌과학 / 심리학 / 감정 이론
추천 대상: 감정의 기원과 작동 원리를 알고 싶은 분, 자기감정에 휘둘리는 이유를 이해하고 싶은 분
출판사: 더퀘스트
페이지 수: 약 460쪽
🌟 책의 핵심 소개
이 책은 기존의 감정 이론, 즉 감정은 본능적이며 특정한 생리 반응과 연결된다는 가설을 부정합니다.
리사 배럿은 수십 년의 연구를 바탕으로, 감정은 특정 뇌 영역에서 자동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뇌가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상황을 ‘예측’하고, 그 예측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즉, 감정은 보편적 본능이 아니라, 학습된 개념에 따른 문화적·개인적 구성물이라는 것이 핵심입니다.
💡 주요 주제, 테마
- 감정은 뇌의 ‘예측 모델’에 의해 구성된다
- 감정은 신체 감각(interoception)과 개념화의 결과
- 감정은 문화적·개인적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 ‘분노’, ‘슬픔’, ‘공포’는 생물학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다
- 감정 조절은 가능하며, 감정 어휘의 확장은 핵심 전략이다
- 감정을 이해하는 새로운 뇌과학적 프레임워크 제시
📚 스포일러 없이 스토리 요약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는 감정에 대한 기존 관념을 깨부숩니다.
우리는 슬플 때 울고, 화나면 얼굴이 붉어지는 것을 자연스러운 본능 반응이라 여기지만,
리사 배럿은 이것이 뇌의 예측 시스템과 개념화 능력이 만들어낸 구성물이라고 설명합니다.
예컨대, ‘화가 났다’는 감정은 실제로 분노라는 감정 회로가 자동으로 발동된 것이 아니라,
신체 감각과 상황 맥락, 언어적 학습을 기반으로 ‘이건 화야’라고 뇌가 해석한 결과입니다.
또한, 감정은 뇌의 인터로셉션(interoception, 내장 감각 추적) 시스템을 통해
신체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여 만들어지며,
그 과정은 개인과 문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책은 감정이 주는 강력한 경험에도 불구하고,
그 뿌리는 예측, 조합, 학습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우리가 감정을 더 잘 조절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합니다.
✍️ 작품의 매력
- 복잡한 뇌과학 이론을 쉽고 설득력 있는 비유와 사례로 해석
- 감정에 대한 전통적 이론을 뒤엎는 혁신적이면서도 근거 있는 주장
- 감정 조절에 대한 실용적 조언(어휘 확장, 개념 학습 등) 포함
- 감정에 관한 철학·심리학·문화적 통찰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시야
📚 읽을 만한 이유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는
“감정은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나의 해석이다”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감정에 휘둘리는 삶이 아니라, 감정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삶을 원한다면
이 책은 지적 도약을 이끌어줄 결정적인 안내서가 될 것입니다.
불안, 분노, 슬픔, 기쁨… 그 모든 감정의 정체를 알게 된 순간,
‘나는 감정을 다룰 수 있다’는 주체적 인식이 시작됩니다.
📌 이 책이 흥미로우셨다면,
닉 채터의 『생각한다는 착각』,
데이비드 이글먼의 『무의식은 나를 어떻게 설계하는가』,
B.J. 포그의 『습관의 디테일』도 함께 추천드립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기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사 펠드먼 배럿,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 책 내용 소개 (13) | 2025.08.09 |
---|---|
요한 하리, '도둑맞은 집중력' | 책 내용 소개 (6) | 2025.08.08 |
찰스 두히그, 습관의 힘 | 책 핵심내용 소개 (7) | 2025.08.05 |
닉 채터(Nick Chater)의 『생각한다는 착각(The Mind Is Flat)』 책 소개 (3) | 2025.08.05 |
죽음 트릴로지 / 김혜순 책 소개 (3) | 2025.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