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설책

단 한 사람 / 최진영 | 소설 내용 소개

by 계곡은계속된다 2025. 8. 1.
반응형

 

📖 『단 한 사람』 – 최진영

장르: 현대소설 / 심리 / 성장 / 치유 서사
추천 대상: 상실 이후의 삶, 사랑과 기억, 사람 사이의 연결에 대해 사유하고자 하시는 독자
출판사: 한겨레출판
페이지 수: 약 296쪽

 


 

🌟 책의 핵심 소개

『단 한 사람』은 갑작스러운 사고로 소중한 사람을 잃은 인물이 상실의 고통을 겪고, 다시 살아가야 하는 삶의 방향을 모색해가는 이야기입니다.

최진영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상처와 애도, 그리고 인간의 회복 가능성을 담담하고도 따뜻한 문장으로 풀어냅니다.

그는 “사랑하는 이를 잃은 사람은 어떻게 살아가는가?”라는 질문을 중심에 두고, 결핍된 삶이 어떻게 온전해질 수 있는지를 정면으로 응시합니다.

이 소설은 단순히 이별의 슬픔만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남겨진 삶의 무게와 책임, 그 안에서 피어나는 새로운 관계와 희망에 주목합니다.

 


 

💡 주요 주제, 테마

  • 사랑하는 사람의 부재와 상실의 감정
  • 남겨진 사람의 삶과 애도의 여정
  • 기억의 지속성과 감정의 복원력
  • 삶의 의미와 존재의 이유에 대한 질문
  • 일상 속에서 피어나는 조용한 연대

 


 

🧑‍🤝‍🧑 주요 등장인물

  • 주인공(화자): 사랑하는 단 한 사람을 잃은 뒤, 자신의 일상과 감정을 복구하려 애쓰는 인물입니다. 슬픔을 꾹 눌러 담은 채 살아가지만, 그 감정의 결은 정제된 문장으로 드러납니다.
  • 고인(그/그녀): 비록 죽음으로 부재한 존재지만, 기억과 회상의 형식으로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중심 인물입니다.
  • 주변 인물들: 조용히 삶에 관여하며, 화자의 감정을 흔들고 다시 일으켜 세우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이들은 상실과 회복의 과정을 돕는 동시에 인간 관계의 본질을 보여줍니다.

 


 

📚 스포일러 없이 스토리 간략히 소개

주인공은 어느 날 갑작스럽게 자신의 세계 전체였던 한 사람을 잃습니다.

그 상실은 단순한 이별이 아니라 삶의 균형을 송두리째 무너뜨리는 충격이었습니다.

남겨진 그는 살아남았다는 사실만으로도 스스로에게 죄책감을 느끼고, 일상 속 모든 순간에서 부재의 그림자를 마주하게 됩니다.

죽은 이는 더 이상 말을 하지 않지만, 그의 기억은 끊임없이 화자의 내면에서 반향을 일으킵니다.

그 사랑이 너무도 깊었기에, 모든 감정은 조용하지만 명확하게 피어오릅니다.

그러나 이 소설은 끝없는 슬픔만을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주인공은 기억과 감정을 마주하고, 시간이 흐르며 조금씩 다시 살아가는 법을 배우기 시작합니다.

누군가의 빈자리를 완전히 채울 수는 없지만, 그 사람 덕분에 더 깊어질 수 있는 감정, 살아야 할 이유가 자신 안에 남아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 작품의 매력

  • 감정을 과장하지 않고도 독자의 마음을 깊이 흔드는 절제된 문장력이 인상적입니다.
  • 죽음과 상실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다루면서도, 삶을 긍정하고자 하는 따뜻한 시선이 지속적으로 흐릅니다.
  • 슬픔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와, 인간관계의 본질에 대한 통찰이 조용히 녹아 있습니다.
  • 애도의 감정과 회복의 과정이 섬세하게 묘사되어, 비슷한 감정을 겪은 독자에게 위로와 공감을 건넵니다.

 


 

📚 읽을 만한 이유

『단 한 사람』은 우리 모두가 언젠가는 마주할 수 있는 상실과 애도, 그리고 남겨진 자의 삶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공감을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이 소설은 “단 한 사람”이 있었기에 삶이 의미 있었고, 그 사람이 없더라도 계속 살아야 한다는 이유 또한 그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을 조용히 알려줍니다.

마음속에 남겨진 누군가를 기억하며, 그 기억으로부터 다시 걸음을 떼고 싶은 분께 이 작품을 진심으로 추천드립니다.

 


 

📌 최진영 작가의 다른 작품으로는 『해가 지는 곳으로』, 『비행운』, 『여름을 지나가다』 등이 있으며, 모두 삶과 감정의 미세한 진동을 잘 포착한 작품들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댓글